Review Article

Split Viewer

J Innov Med Technol 2024; 2(2): 42-46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4

https://doi.org/10.61940/jimt.240013

© Korean Innovative Medical Technology Society

악성 위장관 종양 출혈에 대한 지혈성 파우더의 적용

김광하1,2

1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2부산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소

Received: October 3, 2024; Revised: October 15, 2024; Accepted: October 18, 2024

Hemostatic powder for malignant gastrointestinal tumor bleeding

Gwang Ha Kim1,2

1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usan, Korea, 2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usan, Korea

Correspondence to : Gwang Ha Ki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179 Gudeok-ro, Seo-gu, Busan 49241, Korea
e-mail doc0224@pusan.ac.kr
https://orcid.org/0000-0001-9721-5734

Received: October 3, 2024; Revised: October 15, 2024; Accepted: October 18, 2024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Malignant gastrointestinal (GI) bleeding poses a significant clinical challenge due to the friable nature of tumor surfaces and abnormal vasculature, leading to high rates of rebleeding and treatment failure. Conventional endoscopic hemostatic methods often prove insufficient in such cases, necessitating alternative strategies. Hemostatic powders, such as TC-325 (Hemospray), have emerged as a viable solution, providing immediate hemostasis by forming a physical barrier at the bleeding site and promoting coagulation. Many studies have demonstrated a high immediate hemostasis rate and reduced rebleeding incidence with hemostatic powders, even in patients where conventional therapies failed. Despite some limitations, such as residual powder interfering with further endoscopic procedures, these agents are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stablish standardized guidelines and evaluate the long-term outcomes of hemostatic powders in malignant GI bleeding to solidify their role as a standard treatment option.

Keywords Gastrointestinal tumor; Hemorrhage; Powder; Treatment

악성 위장관 종양 출혈은 악성 종양이 혈관을 침범하거나 종양의 성장에 따른 점막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일반적인 위장관 출혈과는 다른 양상과 임상적 특징을 보인다1,2. 악성 종양 출혈은 출혈이 지속적이며, 재출혈의 가능성이 높아 시술 후에도 재발 위험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2. 이러한 출혈은 환자의 예후를 악화시키고 생명을 위협하는 중대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출혈의 위치가 접근이 어렵거나 종양의 표면이 매우 취약한 경우 전통적인 내시경적 지혈 방법으로는 성공적인 지혈이 어렵다.

내시경적 지혈 방법으로는 클립 사용, 열응고법, 주사요법(에피네프린 또는 생리식염수 주입) 등이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은 주로 출혈 부위에 직접적인 물리적 또는 화학적 자극을 가하여 출혈을 멈추게 한다3. 그러나 악성 종양 출혈의 경우 종양의 표면이 매우 취약하고 비정상적인 혈관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전통적인 지혈 방법이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1,2. 이러한 이유로 시술자는 종양 출혈을 관리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으며, 시술 후 재출혈 발생률이 40% 이상에 달하기도 한다1-3.

최근에는 이러한 난치성 출혈에 대응하기 위해 지혈성 파우더(hemostatic powder)가 개발되었으며, 이는 출혈 부위에 물리적 장벽을 형성하여 출혈을 즉각적으로 멈추게 한다4,5. 지혈성 파우더는 비접촉식으로 도포될 수 있어, 접근이 어려운 부위나 출혈이 광범위하게 발생한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대표적인 지혈성 파우더로는 TC-325 (Hemospray; Cook Medical)가 있으며, 이는 비흡수성 무기물로 구성되어 출혈 부위에 도포될 경우 혈액의 수분과 결합하여 혈소판 응집과 혈액 응고를 촉진하는 장벽을 형성한다4. 본 원고에서는 악성 위장관 종양 출혈의 특성과 치료의 어려움을 설명하고, 지혈성 파우더의 임상적 효과 및 안전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의 내시경적 치료법과 지혈성 파우더를 비교하여 지혈성 파우더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악성 위장관 종양 출혈은 종양의 성장으로 인해 혈관이 손상되거나 종양 세포의 괴사로 인해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2. 악성 종양 출혈은 일반적인 위장관 출혈과는 달리 출혈 부위의 점막이 취약하여 출혈이 광범위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종양 주변의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발달해 있어 전통적인 내시경적 지혈 방법으로는 완전한 지혈을 이루기 어렵다1,2.

종양 출혈은 위장관 종양의 5%–10% 정도에서 발생하며, 출혈이 지속되거나 재발하는 경우가 많아 환자의 예후를 악화시킬 수 있다2,6. 또한 악성 종양 환자는 일반적으로 고령이거나 여러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어 수술적 치료나 일반적인 내시경적 치료의 적용이 제한적이다. 특히, 위장관 악성 종양 출혈은 종양의 크기가 크며 출혈 부위가 내시경적 접근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기존의 지혈 방법으로는 출혈이 완전히 멈추지 않는 경우가 흔하다(Table 1)1,7-11. 종양 출혈은 병변의 위치와 형태에 따라 치료가 매우 어려워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재출혈의 발생률이 28%–80%로 높게 나타난다10. 이러한 이유로 종양 출혈에 대한 효과적인 지혈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Table 1 Comparison of hemostatic powders and conventional endoscopic treatment methods in malignant gastrointestinal bleeding

Treatment methodMechanism of actionHemostasis success rate (%)Rebleeding rate (%)AdvantageDisadvantage
Hemostatic powdersForms a mechanical barrier, enhances coagulation90–9710–15Easy application, effective in inaccessible areas, non-contact methodPossible interference with endoscopic follow-up, risk of clogging
ClippingMechanically compresses bleeding vessels to halt blood flow80–9020–25Direct vessel closure, effective in focal bleedingDifficult to apply in complex lesion locations, risk of clip migration
Thermal coagulationUses heat to coagulate bleeding vessels75–8525–30Widely available, effective for superficial bleedingRisk of tissue damage, limited use in large or deep lesions
Injection therapyCauses vasoconstriction and induces clot formation70–8525–35Simple and cost-effective, useful in combination with other methodsShort-lived effect, high rebleeding rate, risk of tissue necrosis

지혈성 파우더는 출혈 부위에 물리적인 장벽을 형성하여 출혈을 즉각적으로 멈추게 하고, 혈액 응고 인자와 상호작용하여 응고를 촉진한다4.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는 지혈성 파우더 중 대표적인 예로는 TC-325가 있다. TC-325는 비흡수성 무기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출혈 부위에 도포될 경우 혈액의 수분과 결합하여 즉각적인 물리적 장벽을 형성하여 혈액 손실을 차단하고, 혈소판 및 응고 인자를 집중시켜 지혈을 촉진한다1,4. 또한 TC-325는 혈액 응고 인자의 활성을 증가시켜 혈액이 빠르게 응고되도록 돕는다. 지혈성 파우더의 장점은 비접촉식으로 출혈 부위에 도포될 수 있어, 접근이 어려운 부위나 출혈이 광범위하게 발생한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파우더가 형성한 기계적 장벽은 점막을 산으로부터 보호하여 치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와 더불어 지혈성 파우더는 혈관 손상 부위를 직접적으로 자극하지 않기 때문에 종양 출혈과 같이 점막이 취약하고 비정상적인 혈관 구조를 가진 경우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1,4,7-15. 이는 일반적인 내시경적 지혈 방법(예: 클립 사용, 열응고법)과 비교했을 때, 출혈 부위에 물리적인 자극을 최소화하여 추가적인 출혈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큰 장점을 가진다.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지혈성 파우더의 특성에 대해서는 Table 2에 정리하였다.

Table 2 Overview of hemostatic powders for gastrointestinal bleeding

CompositionMechanism of actionClinical effectiveness
TC-325 (Hemospray)Non-absorbable inorganic powderForms a mechanical barrier, promotes platelet aggregation, and enhances coagulation factorsHigh immediate hemostasis success rate (up to 97%) and low rebleeding rates in various gastrointestinal locations
EndoClotPolysaccharide-based absorbable powderAbsorbs moisture to create a gel-like barrier, concentrates clotting factorsEffective for moderate to severe bleeding, high safety profile
Ankaferd Blood StopperHerbal-based hemostatic agentModifies the endothelium and activates clotting cascadesHigh success rate in capillary bleeding, low risk of adverse reactions
ui-EWD (NexPowder)Natural polymerForms mucoadhesive hydrogel to create mechanical barrier on bleeding siteEffective for peptic ulcer, post-intervention, and malignant gastrointestinal bleeding
CEGP-003Natural polymer with epidermal growth factorForms adhesive gel to create mechanical barrier and promote local wound healing pathwaysEffective for peptic ulcer and post-intervention

여러 임상 연구에서 지혈성 파우더는 악성 위장관 종양 출혈에서 높은 즉각 지혈 성공률과 낮은 재출혈률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Chen 등7의 연구에 따르면 TC-325를 적용한 악성 종양 출혈 환자에서 즉각 지혈 성공률은 97%로, 기존의 내시경적 치료 방법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TC-325 적용 후 30일 재출혈률은 15%로, 기존 치료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았다. 이는 지혈성 파우더가 물리적인 장벽을 형성하여 출혈을 즉각적으로 차단할 뿐만 아니라, 혈소판 응집과 혈액 응고를 촉진하여 장기적인 지혈 효과를 유지하는 데 기여했음을 시사한다.

Pittayanon 등16이 시행한 다기관 연구에서는 악성 위장관 종양 출혈 환자에서 TC-325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와 기존의 내시경적 치료 방법과 병용하여 사용한 경우 모두 즉각 지혈 성공률이 높았으며 재출혈 발생률이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특히 기존 내시경적 치료 방법으로 지혈이 되지 않은 환자에서도 TC-325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여 지혈을 성공적으로 이룰 수 있었다. 이는 지혈성 파우더가 기존의 내시경적 지혈 방법과 병용할 때도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최근 Karna 등10에 의한 메타 분석(16개 연구 530명의 환자를 대상)에 의하면 즉각 지혈 성공률은 94.1% (95% confident interval [CI], 91.5–96.0), 3일 이내의 조기 재출혈률은 13.9% (95% CI, 9.7–19.4), 4일 이후의 지연 재출혈률은 11.4% (95% CI, 5.8–21.1)였다.

지혈성 파우더는 대체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드물게 부작용이 보고되기도 한다. 지혈성 파우더를 사용한 후 일부 환자에서 파우더의 잔여물이 출혈 부위에 남아 이후 내시경 시야를 방해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이로 인해 출혈 부위의 추가 치료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지혈성 파우더가 체내에서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환자의 장기적인 면역 반응이나 염증 반응을 유발할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4.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에서 지혈성 파우더는 부작용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한 사례는 드물다. Shin 등17의 연구에서는 TC-325를 적용한 환자에서 별다른 부작용이 보고되지 않았으며, 장기적인 추적 관찰에서도 파우더 잔여물에 의한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지혈성 파우더가 악성 종양 출혈 환자에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지혈성 파우더의 또 다른 부작용으로는 재출혈 발생 시 기존의 파우더 잔여물이 새로운 출혈 부위와 겹쳐져 내시경적 조작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문제는 파우더를 제거하거나 추가적인 내시경적 조작을 통해 해결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지혈성 파우더는 악성 종양 출혈 환자에서 높은 안전성을 보이며, 심각한 부작용은 드물다는 것이 많은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1,4,7,8,12-15.

지혈성 파우더는 기존의 내시경적 지혈 방법과 비교했을 때 시술 시간이 짧고, 시술 후 재출혈률이 낮아 경제적으로도 유리하다. Shah와 Law18의 연구에 따르면, 지혈성 파우더를 사용한 환자에서 시술 후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적었으며, 병원 재원 일수 또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지혈성 파우더가 단순한 물리적 지혈 외에도 전체적인 치료 비용을 절감하고, 환자의 치료 결과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지혈성 파우더는 특히 기존의 내시경적 치료 방법으로 지혈이 어려운 경우나, 종양 출혈로 인한 재출혈 위험이 높은 환자에서 매우 유용한 치료 방법으로 평가된다. Pittayanon 등16의 연구에서는 지혈성 파우더를 사용한 환자에서 6개월 생존율이 높았으며, 이는 지혈성 파우더가 단순한 지혈 외에도 환자의 전반적인 예후를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지혈성 파우더는 주로 출혈 부위에 물리적 장벽을 형성하여 지혈을 유도하기 때문에 강한 혈류를 동반하는 동맥 출혈에서는 이 장벽이 유지되지 않아 지혈 효과가 제한적이다. 소화성궤양 출혈의 경우 이러한 상황에서는 열응고법이나 클립 사용과 같은 다른 내시경적 지혈 방법을 병행하거나 경동맥 색전술 또는 수술적 접근이 필요할 수 있다3. 하지만 악성 위장관 종양 출혈의 경우 동맥 출혈은 드물게 발생하기 때문에 지혈성 파우더의 사용이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혈성 파우더는 악성 종양 출혈에서 높은 지혈 성공률과 낮은 재출혈률을 보이며, 기존의 내시경적 치료 방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유망한 치료 방법이다. 그러나 지혈성 파우더의 장기적인 안전성과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대규모 임상 연구가 필요하며, 다양한 악성 종양 유형에서의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도 필요하다. 또한, 지혈성 파우더의 적용 범위와 사용 방법에 대한 표준화된 가이드라인 개발이 요구된다. 이러한 가이드라인에는 지혈성 파우더 사용이 권장되는 구체적인 임상 상황과 적응증, 그리고 도포 기술과 같은 실제 사용 방법, 그리고 다른 내시경적 지혈 방법과의 병용 여부에 대한 권고 사항도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지혈성 파우더의 장기적인 안전성 및 효과를 평가하고, 다양한 환자군에서의 임상적 유용성을 검증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지혈성 파우더는 악성 위장관 종양 출혈에서 높은 즉각 지혈 성공률과 낮은 재출혈률을 보이며, 기존의 내시경적 치료 방법이 효과를 보이지 않는 경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지혈성 파우더는 물리적인 장벽을 형성하여 출혈을 차단하고, 혈소판 응집과 응고 인자 활성화를 통해 장기적인 지혈 효과를 유지한다. 이는 기존의 내시경적 지혈 방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유망한 치료 방법으로, 향후 연구를 통해 그 임상적 유용성과 안전성을 더욱 확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지혈성 파우더는 악성 위장관 종양 출혈의 표준 치료법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1. Pittayanon R, Prueksapanich P, Rerknimitr R. The efficacy of Hemospray in patients with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from tumor. Endosc Int Open 2016;4:E933-E936. https://doi.org/10.1055/s-0042-109863
    Pubmed KoreaMed CrossRef
  2. Heller SJ, Tokar JL, Nguyen MT, Haluszka O, Weinberg DS. Management of bleeding GI tumors. Gastrointest Endosc 2010;72:817-824. https://doi.org/10.1016/j.gie.2010.06.051
    Pubmed CrossRef
  3. Gralnek IM, Stanley AJ, Morris AJ, et al. Endoscopic diagnosis and management of nonvariceal upper gastrointestinal hemorrhage (NVUGIH): Europ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ESGE) guideline - update 2021. Endoscopy 2021;53:300-332. https://doi.org/10.1055/a-1369-5274
    Pubmed CrossRef
  4. Jiang SX, Chahal D, Ali-Mohamad N, Kastrup C, Donnellan F. Hemostatic powders for gastrointestinal bleeding: a review of old, new, and emerging agents in a rapidly advancing field. Endosc Int Open 2022;10:E1136-E1146. https://doi.org/10.1055/a-1836-8962
    Pubmed KoreaMed CrossRef
  5. Mullady DK, Wang AY, Waschke KA. AGA clinical practice update on endoscopic therapies for non-variceal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expert review. Gastroenterology 2020;159:1120-1128. https://doi.org/10.1053/j.gastro.2020.05.095
    Pubmed CrossRef
  6. Sheibani S, Kim JJ, Chen B, et al. Natural history of acute upper GI bleeding due to tumours: short-term success and long-term recurrence with or without endoscopic therapy. Aliment Pharmacol Ther 2013;38:144-150. https://doi.org/10.1111/apt.12347
    Pubmed CrossRef
  7. Chen YI, Wyse J, Lu Y, Martel M, Barkun AN. TC-325 hemostatic powder versus current standard of care in managing malignant GI bleeding: a pilot randomized clinical trial. Gastrointest Endosc 2020;91:321-328.e1. 1016/j.gie.2019.08.005.
    Pubmed CrossRef
  8. Martins BC, Abnader Machado A, Scomparin RC, et al. TC-325 hemostatic powder in the management of upper gastrointestinal malignant bleeding: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ndosc Int Open 2022;10:E1350-E1357. https://doi.org/10.1055/a-1906-4769
    Pubmed KoreaMed CrossRef
  9. Lau JYW, Pittayanon R, Kwek A, et al. Comparison of a hemostatic powder and standard treatment in the control of active bleeding from upper nonvariceal lesions: a multicenter, noninferiority, randomized trial. Ann Intern Med 2022;175:171-178. https://doi.org/10.7326/m21-0975
    Pubmed CrossRef
  10. Karna R, Deliwala S, Ramgopal B, et al. Efficacy of topical hemostatic agents in malignancy-related GI bleed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Gastrointest Endosc 2023;97:202-208.e8. https://doi.org/10.1016/j.gie.2022.07.033
    Pubmed CrossRef
  11. Saeed A, Yousuf S, Hayat MH, et al. Comparison of TC-325 hemostatic powder with standard endoscopic treatments for malignancy-related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Dig Dis Sci 2024. https://doi.org/10.1007/s10620-024-08644-x
    Pubmed CrossRef
  12. Kim YJ, Park JC, Kim EH, Shin SK, Lee SK, Lee YC. Hemostatic powder application for control of acute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in patients with gastric malignancy. Endosc Int Open 2018;6:E700-E705. https://doi.org/10.1055/a-0593-5884
    Pubmed KoreaMed CrossRef
  13. Hussein M, Alzoubaidi D, O'Donnell M, et al. Hemostatic powder TC-325 treatment of malignancy-related upper gastrointestinal bleeds: International registry outcomes. J Gastroenterol Hepatol 2021;36:3027-3032. https://doi.org/10.1111/jgh.15579
    Pubmed KoreaMed CrossRef
  14. Pittayanon R, Rerknimitr R, Barkun A.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outcomes in patients with malignant GI bleeding treated with a novel endoscopically delivered hemostatic powder. Gastrointest Endosc 2018;87:994-1002. https://doi.org/10.1016/j.gie.2017.11.013
    Pubmed CrossRef
  15. Arena M, Masci E, Eusebi LH, et al. Hemospray for treatment of acute bleeding due to upper gastrointestinal tumours. Dig Liver Dis 2017;49:514-517. https://doi.org/10.1016/j.dld.2016.12.012
    Pubmed CrossRef
  16. Pittayanon R, Khongka W, Linlawan S, et al. Hemostatic powder vs standard endoscopic treatment for gastrointestinal tumor bleeding: a multicenter randomized trial. Gastroenterology 2023;165:762-772.e2. https://doi.org/10.1053/j.gastro.2023.05.042
    Pubmed CrossRef
  17. Shin J, Cha B, Park JS, et al. Efficacy of a novel hemostatic adhesive powder in patients with upper gastrointestinal tumor bleeding. BMC Gastroenterol 2021;21:40. https://doi.org/10.1186/s12876-021-01611-0
    Pubmed KoreaMed CrossRef
  18. Shah ED, Law R. Valuing innovative endoscopic techniques: hemostatic powder for the treatment of GI tumor bleeding. Gastrointest Endosc 2024;100:49-54. https://doi.org/10.1016/j.gie.2023.12.036
    Pubmed CrossRef

Article

Review Article

J Innov Med Technol 2024; 2(2): 42-46

Published online November 30, 2024 https://doi.org/10.61940/jimt.240013

Copyright © Korean Innovative Medical Technology Society.

악성 위장관 종양 출혈에 대한 지혈성 파우더의 적용

김광하1,2

1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2부산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소

Received: October 3, 2024; Revised: October 15, 2024; Accepted: October 18, 2024

Hemostatic powder for malignant gastrointestinal tumor bleeding

Gwang Ha Kim1,2

1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Busan, Korea, 2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usan, Korea

Correspondence to:Gwang Ha Ki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Biomedical Research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179 Gudeok-ro, Seo-gu, Busan 49241, Korea
e-mail doc0224@pusan.ac.kr
https://orcid.org/0000-0001-9721-5734

Received: October 3, 2024; Revised: October 15, 2024; Accepted: October 18, 2024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Malignant gastrointestinal (GI) bleeding poses a significant clinical challenge due to the friable nature of tumor surfaces and abnormal vasculature, leading to high rates of rebleeding and treatment failure. Conventional endoscopic hemostatic methods often prove insufficient in such cases, necessitating alternative strategies. Hemostatic powders, such as TC-325 (Hemospray), have emerged as a viable solution, providing immediate hemostasis by forming a physical barrier at the bleeding site and promoting coagulation. Many studies have demonstrated a high immediate hemostasis rate and reduced rebleeding incidence with hemostatic powders, even in patients where conventional therapies failed. Despite some limitations, such as residual powder interfering with further endoscopic procedures, these agents are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stablish standardized guidelines and evaluate the long-term outcomes of hemostatic powders in malignant GI bleeding to solidify their role as a standard treatment option.

Keywords: Gastrointestinal tumor, Hemorrhage, Powder, Treatment

서 론

악성 위장관 종양 출혈은 악성 종양이 혈관을 침범하거나 종양의 성장에 따른 점막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일반적인 위장관 출혈과는 다른 양상과 임상적 특징을 보인다1,2. 악성 종양 출혈은 출혈이 지속적이며, 재출혈의 가능성이 높아 시술 후에도 재발 위험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2. 이러한 출혈은 환자의 예후를 악화시키고 생명을 위협하는 중대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출혈의 위치가 접근이 어렵거나 종양의 표면이 매우 취약한 경우 전통적인 내시경적 지혈 방법으로는 성공적인 지혈이 어렵다.

내시경적 지혈 방법으로는 클립 사용, 열응고법, 주사요법(에피네프린 또는 생리식염수 주입) 등이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은 주로 출혈 부위에 직접적인 물리적 또는 화학적 자극을 가하여 출혈을 멈추게 한다3. 그러나 악성 종양 출혈의 경우 종양의 표면이 매우 취약하고 비정상적인 혈관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전통적인 지혈 방법이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1,2. 이러한 이유로 시술자는 종양 출혈을 관리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으며, 시술 후 재출혈 발생률이 40% 이상에 달하기도 한다1-3.

최근에는 이러한 난치성 출혈에 대응하기 위해 지혈성 파우더(hemostatic powder)가 개발되었으며, 이는 출혈 부위에 물리적 장벽을 형성하여 출혈을 즉각적으로 멈추게 한다4,5. 지혈성 파우더는 비접촉식으로 도포될 수 있어, 접근이 어려운 부위나 출혈이 광범위하게 발생한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대표적인 지혈성 파우더로는 TC-325 (Hemospray; Cook Medical)가 있으며, 이는 비흡수성 무기물로 구성되어 출혈 부위에 도포될 경우 혈액의 수분과 결합하여 혈소판 응집과 혈액 응고를 촉진하는 장벽을 형성한다4. 본 원고에서는 악성 위장관 종양 출혈의 특성과 치료의 어려움을 설명하고, 지혈성 파우더의 임상적 효과 및 안전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의 내시경적 치료법과 지혈성 파우더를 비교하여 지혈성 파우더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악성 위장관 종양 출혈의 특성과 치료의 어려움

악성 위장관 종양 출혈은 종양의 성장으로 인해 혈관이 손상되거나 종양 세포의 괴사로 인해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2. 악성 종양 출혈은 일반적인 위장관 출혈과는 달리 출혈 부위의 점막이 취약하여 출혈이 광범위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종양 주변의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발달해 있어 전통적인 내시경적 지혈 방법으로는 완전한 지혈을 이루기 어렵다1,2.

종양 출혈은 위장관 종양의 5%–10% 정도에서 발생하며, 출혈이 지속되거나 재발하는 경우가 많아 환자의 예후를 악화시킬 수 있다2,6. 또한 악성 종양 환자는 일반적으로 고령이거나 여러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어 수술적 치료나 일반적인 내시경적 치료의 적용이 제한적이다. 특히, 위장관 악성 종양 출혈은 종양의 크기가 크며 출혈 부위가 내시경적 접근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기존의 지혈 방법으로는 출혈이 완전히 멈추지 않는 경우가 흔하다(Table 1)1,7-11. 종양 출혈은 병변의 위치와 형태에 따라 치료가 매우 어려워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재출혈의 발생률이 28%–80%로 높게 나타난다10. 이러한 이유로 종양 출혈에 대한 효과적인 지혈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Table 1 . Comparison of hemostatic powders and conventional endoscopic treatment methods in malignant gastrointestinal bleeding.

Treatment methodMechanism of actionHemostasis success rate (%)Rebleeding rate (%)AdvantageDisadvantage
Hemostatic powdersForms a mechanical barrier, enhances coagulation90–9710–15Easy application, effective in inaccessible areas, non-contact methodPossible interference with endoscopic follow-up, risk of clogging
ClippingMechanically compresses bleeding vessels to halt blood flow80–9020–25Direct vessel closure, effective in focal bleedingDifficult to apply in complex lesion locations, risk of clip migration
Thermal coagulationUses heat to coagulate bleeding vessels75–8525–30Widely available, effective for superficial bleedingRisk of tissue damage, limited use in large or deep lesions
Injection therapyCauses vasoconstriction and induces clot formation70–8525–35Simple and cost-effective, useful in combination with other methodsShort-lived effect, high rebleeding rate, risk of tissue necrosis

지혈성 파우더의 기전과 특징

지혈성 파우더는 출혈 부위에 물리적인 장벽을 형성하여 출혈을 즉각적으로 멈추게 하고, 혈액 응고 인자와 상호작용하여 응고를 촉진한다4.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는 지혈성 파우더 중 대표적인 예로는 TC-325가 있다. TC-325는 비흡수성 무기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출혈 부위에 도포될 경우 혈액의 수분과 결합하여 즉각적인 물리적 장벽을 형성하여 혈액 손실을 차단하고, 혈소판 및 응고 인자를 집중시켜 지혈을 촉진한다1,4. 또한 TC-325는 혈액 응고 인자의 활성을 증가시켜 혈액이 빠르게 응고되도록 돕는다. 지혈성 파우더의 장점은 비접촉식으로 출혈 부위에 도포될 수 있어, 접근이 어려운 부위나 출혈이 광범위하게 발생한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파우더가 형성한 기계적 장벽은 점막을 산으로부터 보호하여 치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와 더불어 지혈성 파우더는 혈관 손상 부위를 직접적으로 자극하지 않기 때문에 종양 출혈과 같이 점막이 취약하고 비정상적인 혈관 구조를 가진 경우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1,4,7-15. 이는 일반적인 내시경적 지혈 방법(예: 클립 사용, 열응고법)과 비교했을 때, 출혈 부위에 물리적인 자극을 최소화하여 추가적인 출혈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큰 장점을 가진다.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지혈성 파우더의 특성에 대해서는 Table 2에 정리하였다.

Table 2 . Overview of hemostatic powders for gastrointestinal bleeding.

CompositionMechanism of actionClinical effectiveness
TC-325 (Hemospray)Non-absorbable inorganic powderForms a mechanical barrier, promotes platelet aggregation, and enhances coagulation factorsHigh immediate hemostasis success rate (up to 97%) and low rebleeding rates in various gastrointestinal locations
EndoClotPolysaccharide-based absorbable powderAbsorbs moisture to create a gel-like barrier, concentrates clotting factorsEffective for moderate to severe bleeding, high safety profile
Ankaferd Blood StopperHerbal-based hemostatic agentModifies the endothelium and activates clotting cascadesHigh success rate in capillary bleeding, low risk of adverse reactions
ui-EWD (NexPowder)Natural polymerForms mucoadhesive hydrogel to create mechanical barrier on bleeding siteEffective for peptic ulcer, post-intervention, and malignant gastrointestinal bleeding
CEGP-003Natural polymer with epidermal growth factorForms adhesive gel to create mechanical barrier and promote local wound healing pathwaysEffective for peptic ulcer and post-intervention

지혈성 파우더의 임상적 효과

여러 임상 연구에서 지혈성 파우더는 악성 위장관 종양 출혈에서 높은 즉각 지혈 성공률과 낮은 재출혈률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Chen 등7의 연구에 따르면 TC-325를 적용한 악성 종양 출혈 환자에서 즉각 지혈 성공률은 97%로, 기존의 내시경적 치료 방법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TC-325 적용 후 30일 재출혈률은 15%로, 기존 치료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았다. 이는 지혈성 파우더가 물리적인 장벽을 형성하여 출혈을 즉각적으로 차단할 뿐만 아니라, 혈소판 응집과 혈액 응고를 촉진하여 장기적인 지혈 효과를 유지하는 데 기여했음을 시사한다.

Pittayanon 등16이 시행한 다기관 연구에서는 악성 위장관 종양 출혈 환자에서 TC-325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와 기존의 내시경적 치료 방법과 병용하여 사용한 경우 모두 즉각 지혈 성공률이 높았으며 재출혈 발생률이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특히 기존 내시경적 치료 방법으로 지혈이 되지 않은 환자에서도 TC-325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여 지혈을 성공적으로 이룰 수 있었다. 이는 지혈성 파우더가 기존의 내시경적 지혈 방법과 병용할 때도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최근 Karna 등10에 의한 메타 분석(16개 연구 530명의 환자를 대상)에 의하면 즉각 지혈 성공률은 94.1% (95% confident interval [CI], 91.5–96.0), 3일 이내의 조기 재출혈률은 13.9% (95% CI, 9.7–19.4), 4일 이후의 지연 재출혈률은 11.4% (95% CI, 5.8–21.1)였다.

지혈성 파우더의 안전성과 부작용

지혈성 파우더는 대체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드물게 부작용이 보고되기도 한다. 지혈성 파우더를 사용한 후 일부 환자에서 파우더의 잔여물이 출혈 부위에 남아 이후 내시경 시야를 방해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이로 인해 출혈 부위의 추가 치료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지혈성 파우더가 체내에서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환자의 장기적인 면역 반응이나 염증 반응을 유발할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4.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에서 지혈성 파우더는 부작용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한 사례는 드물다. Shin 등17의 연구에서는 TC-325를 적용한 환자에서 별다른 부작용이 보고되지 않았으며, 장기적인 추적 관찰에서도 파우더 잔여물에 의한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지혈성 파우더가 악성 종양 출혈 환자에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지혈성 파우더의 또 다른 부작용으로는 재출혈 발생 시 기존의 파우더 잔여물이 새로운 출혈 부위와 겹쳐져 내시경적 조작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문제는 파우더를 제거하거나 추가적인 내시경적 조작을 통해 해결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지혈성 파우더는 악성 종양 출혈 환자에서 높은 안전성을 보이며, 심각한 부작용은 드물다는 것이 많은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1,4,7,8,12-15.

지혈성 파우더의 경제적 효과 및 임상적 유용성

지혈성 파우더는 기존의 내시경적 지혈 방법과 비교했을 때 시술 시간이 짧고, 시술 후 재출혈률이 낮아 경제적으로도 유리하다. Shah와 Law18의 연구에 따르면, 지혈성 파우더를 사용한 환자에서 시술 후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적었으며, 병원 재원 일수 또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지혈성 파우더가 단순한 물리적 지혈 외에도 전체적인 치료 비용을 절감하고, 환자의 치료 결과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지혈성 파우더는 특히 기존의 내시경적 치료 방법으로 지혈이 어려운 경우나, 종양 출혈로 인한 재출혈 위험이 높은 환자에서 매우 유용한 치료 방법으로 평가된다. Pittayanon 등16의 연구에서는 지혈성 파우더를 사용한 환자에서 6개월 생존율이 높았으며, 이는 지혈성 파우더가 단순한 지혈 외에도 환자의 전반적인 예후를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지혈성 파우더는 주로 출혈 부위에 물리적 장벽을 형성하여 지혈을 유도하기 때문에 강한 혈류를 동반하는 동맥 출혈에서는 이 장벽이 유지되지 않아 지혈 효과가 제한적이다. 소화성궤양 출혈의 경우 이러한 상황에서는 열응고법이나 클립 사용과 같은 다른 내시경적 지혈 방법을 병행하거나 경동맥 색전술 또는 수술적 접근이 필요할 수 있다3. 하지만 악성 위장관 종양 출혈의 경우 동맥 출혈은 드물게 발생하기 때문에 지혈성 파우더의 사용이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혈성 파우더의 향후 연구 방향

지혈성 파우더는 악성 종양 출혈에서 높은 지혈 성공률과 낮은 재출혈률을 보이며, 기존의 내시경적 치료 방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유망한 치료 방법이다. 그러나 지혈성 파우더의 장기적인 안전성과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대규모 임상 연구가 필요하며, 다양한 악성 종양 유형에서의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도 필요하다. 또한, 지혈성 파우더의 적용 범위와 사용 방법에 대한 표준화된 가이드라인 개발이 요구된다. 이러한 가이드라인에는 지혈성 파우더 사용이 권장되는 구체적인 임상 상황과 적응증, 그리고 도포 기술과 같은 실제 사용 방법, 그리고 다른 내시경적 지혈 방법과의 병용 여부에 대한 권고 사항도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지혈성 파우더의 장기적인 안전성 및 효과를 평가하고, 다양한 환자군에서의 임상적 유용성을 검증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결 론

지혈성 파우더는 악성 위장관 종양 출혈에서 높은 즉각 지혈 성공률과 낮은 재출혈률을 보이며, 기존의 내시경적 치료 방법이 효과를 보이지 않는 경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지혈성 파우더는 물리적인 장벽을 형성하여 출혈을 차단하고, 혈소판 응집과 응고 인자 활성화를 통해 장기적인 지혈 효과를 유지한다. 이는 기존의 내시경적 지혈 방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유망한 치료 방법으로, 향후 연구를 통해 그 임상적 유용성과 안전성을 더욱 확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지혈성 파우더는 악성 위장관 종양 출혈의 표준 치료법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Acknowledgments

None.

Conflict of Interest

Gwang Ha Kim is currently serving as Editor-in-Chief for Journal of Innovative Medical Technology; however, he was not involved in the peer reviewer selection, evaluation, or decision process of this article.

Funding

None.

Table 1 . Comparison of hemostatic powders and conventional endoscopic treatment methods in malignant gastrointestinal bleeding.

Treatment methodMechanism of actionHemostasis success rate (%)Rebleeding rate (%)AdvantageDisadvantage
Hemostatic powdersForms a mechanical barrier, enhances coagulation90–9710–15Easy application, effective in inaccessible areas, non-contact methodPossible interference with endoscopic follow-up, risk of clogging
ClippingMechanically compresses bleeding vessels to halt blood flow80–9020–25Direct vessel closure, effective in focal bleedingDifficult to apply in complex lesion locations, risk of clip migration
Thermal coagulationUses heat to coagulate bleeding vessels75–8525–30Widely available, effective for superficial bleedingRisk of tissue damage, limited use in large or deep lesions
Injection therapyCauses vasoconstriction and induces clot formation70–8525–35Simple and cost-effective, useful in combination with other methodsShort-lived effect, high rebleeding rate, risk of tissue necrosis

Table 2 . Overview of hemostatic powders for gastrointestinal bleeding.

CompositionMechanism of actionClinical effectiveness
TC-325 (Hemospray)Non-absorbable inorganic powderForms a mechanical barrier, promotes platelet aggregation, and enhances coagulation factorsHigh immediate hemostasis success rate (up to 97%) and low rebleeding rates in various gastrointestinal locations
EndoClotPolysaccharide-based absorbable powderAbsorbs moisture to create a gel-like barrier, concentrates clotting factorsEffective for moderate to severe bleeding, high safety profile
Ankaferd Blood StopperHerbal-based hemostatic agentModifies the endothelium and activates clotting cascadesHigh success rate in capillary bleeding, low risk of adverse reactions
ui-EWD (NexPowder)Natural polymerForms mucoadhesive hydrogel to create mechanical barrier on bleeding siteEffective for peptic ulcer, post-intervention, and malignant gastrointestinal bleeding
CEGP-003Natural polymer with epidermal growth factorForms adhesive gel to create mechanical barrier and promote local wound healing pathwaysEffective for peptic ulcer and post-intervention

References

  1. Pittayanon R, Prueksapanich P, Rerknimitr R. The efficacy of Hemospray in patients with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from tumor. Endosc Int Open 2016;4:E933-E936. https://doi.org/10.1055/s-0042-109863
    Pubmed KoreaMed CrossRef
  2. Heller SJ, Tokar JL, Nguyen MT, Haluszka O, Weinberg DS. Management of bleeding GI tumors. Gastrointest Endosc 2010;72:817-824. https://doi.org/10.1016/j.gie.2010.06.051
    Pubmed CrossRef
  3. Gralnek IM, Stanley AJ, Morris AJ, et al. Endoscopic diagnosis and management of nonvariceal upper gastrointestinal hemorrhage (NVUGIH): Europ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ESGE) guideline - update 2021. Endoscopy 2021;53:300-332. https://doi.org/10.1055/a-1369-5274
    Pubmed CrossRef
  4. Jiang SX, Chahal D, Ali-Mohamad N, Kastrup C, Donnellan F. Hemostatic powders for gastrointestinal bleeding: a review of old, new, and emerging agents in a rapidly advancing field. Endosc Int Open 2022;10:E1136-E1146. https://doi.org/10.1055/a-1836-8962
    Pubmed KoreaMed CrossRef
  5. Mullady DK, Wang AY, Waschke KA. AGA clinical practice update on endoscopic therapies for non-variceal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expert review. Gastroenterology 2020;159:1120-1128. https://doi.org/10.1053/j.gastro.2020.05.095
    Pubmed CrossRef
  6. Sheibani S, Kim JJ, Chen B, et al. Natural history of acute upper GI bleeding due to tumours: short-term success and long-term recurrence with or without endoscopic therapy. Aliment Pharmacol Ther 2013;38:144-150. https://doi.org/10.1111/apt.12347
    Pubmed CrossRef
  7. Chen YI, Wyse J, Lu Y, Martel M, Barkun AN. TC-325 hemostatic powder versus current standard of care in managing malignant GI bleeding: a pilot randomized clinical trial. Gastrointest Endosc 2020;91:321-328.e1. 1016/j.gie.2019.08.005.
    Pubmed CrossRef
  8. Martins BC, Abnader Machado A, Scomparin RC, et al. TC-325 hemostatic powder in the management of upper gastrointestinal malignant bleeding: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ndosc Int Open 2022;10:E1350-E1357. https://doi.org/10.1055/a-1906-4769
    Pubmed KoreaMed CrossRef
  9. Lau JYW, Pittayanon R, Kwek A, et al. Comparison of a hemostatic powder and standard treatment in the control of active bleeding from upper nonvariceal lesions: a multicenter, noninferiority, randomized trial. Ann Intern Med 2022;175:171-178. https://doi.org/10.7326/m21-0975
    Pubmed CrossRef
  10. Karna R, Deliwala S, Ramgopal B, et al. Efficacy of topical hemostatic agents in malignancy-related GI bleed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Gastrointest Endosc 2023;97:202-208.e8. https://doi.org/10.1016/j.gie.2022.07.033
    Pubmed CrossRef
  11. Saeed A, Yousuf S, Hayat MH, et al. Comparison of TC-325 hemostatic powder with standard endoscopic treatments for malignancy-related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Dig Dis Sci 2024. https://doi.org/10.1007/s10620-024-08644-x
    Pubmed CrossRef
  12. Kim YJ, Park JC, Kim EH, Shin SK, Lee SK, Lee YC. Hemostatic powder application for control of acute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in patients with gastric malignancy. Endosc Int Open 2018;6:E700-E705. https://doi.org/10.1055/a-0593-5884
    Pubmed KoreaMed CrossRef
  13. Hussein M, Alzoubaidi D, O'Donnell M, et al. Hemostatic powder TC-325 treatment of malignancy-related upper gastrointestinal bleeds: International registry outcomes. J Gastroenterol Hepatol 2021;36:3027-3032. https://doi.org/10.1111/jgh.15579
    Pubmed KoreaMed CrossRef
  14. Pittayanon R, Rerknimitr R, Barkun A.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outcomes in patients with malignant GI bleeding treated with a novel endoscopically delivered hemostatic powder. Gastrointest Endosc 2018;87:994-1002. https://doi.org/10.1016/j.gie.2017.11.013
    Pubmed CrossRef
  15. Arena M, Masci E, Eusebi LH, et al. Hemospray for treatment of acute bleeding due to upper gastrointestinal tumours. Dig Liver Dis 2017;49:514-517. https://doi.org/10.1016/j.dld.2016.12.012
    Pubmed CrossRef
  16. Pittayanon R, Khongka W, Linlawan S, et al. Hemostatic powder vs standard endoscopic treatment for gastrointestinal tumor bleeding: a multicenter randomized trial. Gastroenterology 2023;165:762-772.e2. https://doi.org/10.1053/j.gastro.2023.05.042
    Pubmed CrossRef
  17. Shin J, Cha B, Park JS, et al. Efficacy of a novel hemostatic adhesive powder in patients with upper gastrointestinal tumor bleeding. BMC Gastroenterol 2021;21:40. https://doi.org/10.1186/s12876-021-01611-0
    Pubmed KoreaMed CrossRef
  18. Shah ED, Law R. Valuing innovative endoscopic techniques: hemostatic powder for the treatment of GI tumor bleeding. Gastrointest Endosc 2024;100:49-54. https://doi.org/10.1016/j.gie.2023.12.036
    Pubmed CrossRef
Journal of Innovative Medical Technology
Nov 30, 2024 Vol.2 No.2, pp. 29~79

Stats or Metrics

Share this article on

  • line

JIMT